logo
分类于: 职场办公 设计

简介

미디어와 한국현대사: 사회적 소통과 감각의 문화사

미디어와 한국현대사: 사회적 소통과 감각의 문화사 0.0分

资源最后更新于 2020-11-26 07:26:16

作者:유선영

出版社:대한민국역사박물관

出版日期:2016-01

ISBN:9788998443085

文件格式: pdf

标签: 韩文 媒体

简介· · · · · ·

016-06-30

발간부서

연구기획과

페이지

397

저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학술 정기간행물 《한국현대사 연구총서》는 현대사 쟁점 주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연구결과물들을 학계 및 일반인과 공유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주요 현대사 연구주제에 대한 학제적 연구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현대사 주제들을 균형 있게 다룸으로써 근현대사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발간한다.

이번 연구총서 제10권 『미디어와 한국현대사: 사회적 소통과 감각의 문화사』에서는 개화기 혹은 구한말에서 시작되어 디지털 모빌리티가 일상을 재편하고 있는 21세기의 현재까지 이어지는 역사 안에서 미디어가 시기별로 어떠한 변화의 역선이었는가를 탐문하고 해석하고자 기획되었으며, 이를 살펴보는 원고 7편을 실었다.

想要: 点击会收藏到你的 我的收藏,可以在这里查看

已收: 表示已经收藏

Tips: 注册一个用户 可以通过用户中心得到电子书更新的通知哦

目录

서 문 | 한국사회의 현대사적 전환에 개입한 力/歷線으로서 미디어 ∥ 유선영(성공회대학교)
Ⅰ. 미디어, 사회 그리고 감각의 편향
Ⅱ. 사회변화의 역선으로서 미디어
Ⅲ. 미디어와 한국현대사의 전환, 감각과 소통의 문화사
제1장 | 개화기 구두사회의 전환과 미디어 ∥ 유선영(성공회대학교)
Ⅰ. 개화기 반구조성의 감각과 미디어들
Ⅱ. 근대성의 실천으로서 표현, ‘바깥으로 나타냄’의 감각
Ⅲ. 근대적 주체, 會와 會衆의 구성
Ⅳ. 구두사회의 음성공간과 근대성
Ⅴ. 말-문자-소리 미디어의 연쇄와 연동, 정치적 聲文空間의 창출
Ⅵ. 음성사회를 내파하는 문자적 문명과 근대적 감각의 침습
제2장 | 기술 복제 시대의 도래와 신체 미디어 ∥ 이화진(인하대학교)
Ⅰ. 식민지 시대 종족 공동체와 미디어
Ⅱ. 계몽의 열정과 종족 미디어의 연쇄
Ⅲ. 조선 사회의 ‘동정’과 미디어의 감정 정치
Ⅳ. 식민 권력의 미디어 규제와 복제 미디어
Ⅴ. 식민지의 ‘불온’, 텍스트의 모호성과 맥락의 중층성
Ⅵ. 불온한 독법: ‘씌어지지 않은 것’을 읽고, ‘말해지지 않은 것’을 듣기

제3장 | 해방공간의 과도신전과 자기분열적 수축 ∥ 정준희(중앙대학교)
Ⅰ. 현대 한국의 시발점이자 회귀지점으로서의 1950년대
Ⅱ. 1950년대의 사회・미디어-감각의 접합과 사회적 자기구성 양상
Ⅲ. 결 어: 1950년대의 미디어-감각 전환에 따른 사회조직화 양상의 변동

제4장 | 매스미디어 체제와 대중 욕망의 시대, 1960-1979 ∥ 김예란(광운대학교)
Ⅰ. 시작하며
Ⅱ. 1960~70년대 한국사회의 음영화
Ⅲ. 개별 매스미디엄들의 성립과 발전
Ⅳ. 매스 미디어 체제 구성 원리와 효과
Ⅴ. 대중의 자의식과 대중문화의 담론화
Ⅵ. 매스미디어 체제의 기능: 생성, 연결, 표현
Ⅶ. 맺으며
제5장 | 텔레비전이 만들어 낸 1980년대 감각 공동체 ∥ 김상호(경북대학교)
Ⅰ. 80년대와 미디어를 통한 일상 감각의 재편
Ⅱ. 1980년대, 정치적 사회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밀도
Ⅲ. 텔레비전의 포화 그리고 미디어 밀도의 변화
Ⅳ. 감각밀도의 변화와 감각공동체의 형성
Ⅴ. 미디어가 만들어낸 1980년대 한국의 감각 공동체와 그 의미
제6장 | 1990년대 ‘미디어화’와 대중의 재구성 ∥ 이동후(인천대학교)
Ⅰ. 미디어를 환경으로 바라보기
Ⅱ. 90년대 한국 사회의 정치경제적 정경
Ⅲ. 90년대 대중적 ‘의례’로서의 텔레비전
Ⅳ. 개인용 미디어 기기의 확산과 대중의 균열
Ⅴ. 이동 미디어의 등장과 사회적 소통의 개인화
Ⅵ. 네트워크 군중의 탄생과 사회적 소통의 분화
Ⅶ. 사회적 소통의 ‘미디어화’와 대중의 재구성
제7장 | 2000년대 네트워크문화와 미디어 감각의 전이 ∥ 이광석(서울과학기술대학교)
Ⅰ. 들어가는 글
Ⅱ. 전자 소통 방식의 시기별 변화
Ⅲ. 시대별 전자미디어 매개 사회 소통약식의 변화
Ⅳ. 네트워크 주체들의 온-오프라인 사회적 관계망의 미래